상단영역

본문영역

국제사회 기후변화대응 '공염불'…미국·중국·사우디 등 저항 탓

파리협정 이행계획 헛바퀴…합의골자가 "대응 절실하다" 원론

  • 기사입력 2020.01.08 14:38
  • 기자명 김하늘 기자

기후변화 재앙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가 또다시 공염불에 그쳤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파리 기후변화협약의 구체적 이행을 위해 조직된 올해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5)는 실질적 성과 없이 원론적 선언으로 막을 내렸다.

지난 15일 발표된 총회의 최종 합의문은 파리 협약의 목표와 국가들의 실제 감축 목표의 차이를 줄이는 게 절실하다는 데 동의한다는 게 골자다.

이는 파리 협약의 내년 시행을 앞두고 당사국들이 더 과감한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라는 환경론자들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는 말장난이다.

탄소배출권 거래제 도입을 위한 시장 규칙 확립, 기후 변화로 개발도상국들이 입은 피해를 보상하는 방안 등에 대한 논의도 헛바퀴만 돌았다.

당사국들이 이들 사안에 합의한 것은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릴 내년 총회에서 다시 논의하겠다는 것이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성명을 통해 "국제 사회는 기후 변화를 완화하고 그에 적응하며 맞서기 위한 재원을 마련하는데 의욕을 보일 중요한 기회를 잃었다"며 실망을 표출했다.

그는 "2020년을 모든 국가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이산화탄소의 배출과 흡수를 총합한 순배출량 0)을 달성하고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1.5도 아래로 두는 데 헌신하는 해로 만들 의지가 확고하다"며 각성을 촉구했다.

미국의 국제환경연구기관인 세계자원연구소(WRI)의 기후·경제 담당 부서 부대표인 헬런 마운트포드는 이날 트위터로 "이번 총회는 거리로 나온 자국 시민들의 요구와 과학에 각국 지도자들이 얼마나 동떨어져 있는지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196개 당사국 대표단이 참가한 이번 총회는 파리기후변화협약 이행에 필요한 이행 규칙을 완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었다.

2015년 체결된 파리협약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섭씨 2도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장기적으로 1.5도 이하로 제한하고자 노력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AFP통신에 따르면 이번 당사국 총회가 공염불에 그치도록 한 주범으로는 중국,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브라질 등이 지목되고 있다.

이들은 탄소 배출량이 가장 많은 축에 속하거나 화석연료의 주요 생산국, 탄소 흡수원인 거대밀림 보유국 등 특수지위가 있는 국가들이다.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러시아 등 주요국들은 글로벌 탄소 배출량의 75%를 차지하고 있으나 각각 설정한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연간 탄소 배출량 순위가 각각 1위, 4위인 중국과 인도는 자신들의 현재 감축 목표를 바꿀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산업화를 거의 이룬 이들 대형 신흥국은 선진국들에 개도국들이 입은 피해를 보상해야 할 역사적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내년 파리협약 공식 탈퇴를 선언한 미국 역시 개도국 지원금 이슈와 관련해 책임소재를 부인하는 등 협상이 진전되는 데 걸림돌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 후 기후변화를 부정하고 대응을 거부하는 가운데 EU와 공조해 파리협약을 수호하겠다는 뜻을 밝혀왔다.

그러나 이번에 중국은 탄소시장 규제를 강화하는 사안에서 EU를 지지하지 않는 등 구체적 행동에서는 소극적 태도를 노출했다.

제니퍼 모건 그린피스 사무총장 역시 "파리 협정은 소수의 강력한 탄소 배출국들의 뺑소니로 훼손돼왔는지도 모른다"며 주요 선진국들이 탄소배출의 역사적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번 총회에 대한 기대감은 세계 곳곳에서 홍수, 가뭄, 산불 등이 극단적 기상 현상이 급증한 올해 특히 높았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과학자들은 탄소배출로 지구가 온난해지고 그에 따라 기후가 변화해 극단적인 기상과 자연재해가 더 빈발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