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대통령의 제주4.3사건 추모사에 드러난 역사편향성의 유감

  • 기사입력 2020.04.06 09:08
  • 기자명 장 순 휘(정치학박사, 문화안보연구원 이사)

지난 3일 오전 10시 제주4.3평화공원 추념광장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제72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이 거행됐다.

과거 역대 대통령들이 임기 5년 중 한 번 정도 참석한 점에서 작년에 이어 2회 연속 참석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고, 특히 천안함 피격추모행사에 재임 중 올해 처음 참석한 점과 비교한다면 대통령의 사고(思考)적 경향에 시사하는 바가 많다.

그리고 5.18추모행사와 6.6일 현충원행사 및 이번 4.3행사에서 유족대표를 다가가서 안아주고 눈시울을 적시던 모습과 달리 ‘천안함 피격 10주기 추모행사’에서는 유족에 대한 대화와 시선에서 경멸하는 듯한 모습은 많은 국민들에게 가슴아픈 장면으로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

더욱이 영부인은 아들을 잃고 억울함을 호소하는 천안함 유족을 바로 옆에서 싸늘한 시선을 줄 뿐 따스하게 안아주지 않았던 장면도 영원히 남을 것이다.   

‘제주4.3사건’은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김달삼 등 350여명이 무장을 하고 12개 경찰지서를 기습하면서 발생한 무장폭동이었음은 역사적 사료가 증거하고 있다.

그 당시 1948년은 유엔에 의한 신탁통치로 운영되던 미군정이 조기에 종식하고 유엔감시 하 5.10 제헌의회 선거가 준비되던 시기였다. 남한에서의 정치상황은 우후죽순으로 난립하는 정당들의 충돌로 그야말로 무정부상태인 최악의 혼돈(CAOS) 그 자체였다. ‘제주4.3사건’은 북조선의 김일성 일당이 대남 평화공세로 남침전쟁준비를 은폐하면서, 남한의 5.10총선와 단독정부수립을 방해하고 국가전복의 기회를 호시탐탐 노리던 중 남로당 박헌영과 모의하여 제주도에서 무장폭동을 일으키게 한 것이 정설(定說)이다.     

다만 군과 경찰의 진압과정에서 억울하게 희생당한 주민들이 과도하게 발생하였고, 이에 대하여는 국가가 마땅히 사과와 보상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대한민국정부수립을 부정하고 공산혁명을 위해 무장폭동을 일으킨 친공분자들은 끝까지 식별해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 대통령이 추모사에서 ‘먼저 꿈을 꾼 사람들’로 표현한 의미는 매우 위험한 역사관에 근거한 것으로 사건의 본질을 호도하는 억지 주장이라 할 것이다. 기회가 된다면 문대통령은 자신이 언급한 ‘꿈’이 무엇인지 반드시 밝혀서 국민적 의구심을 불식시켜 줄 것을 청원한다.

‘제주4.3사건’은 1998년 11월 23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도 “제주 4.3은 공산폭동이었다.”고 인정한 사건이다. 그런데 문 대통령이 "제주 4·3이라는 원점으로 돌아가 그날, 그 학살의 현장에서 무엇이 날조되었다"고 말함으로써 당시 공산폭도들과 맞서 싸웠던 군과 경찰을 ‘학살자’로 매도하고 명예를 훼손한 것은 있을 수 없는 경솔한 추모사였다.

오히려 ‘제주4.3사건’이 김일성과 남로당 박헌영의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조직적으로 반대한 무장폭동이었다는 진실을 앞세워 북한 김정은에게 사과를 요구했다면 명연설로 기록되었을 것이다.

더욱이 대통령으로서 역사관에 있어서 불편부당한 이념가치기준을 가지고 국민통합과 화해를 위한 추념사를 발표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편향적 이데올로기로 국민분열을 부추기고 호도한 것은 매우 부적절했고 신중했어야 했다.

더욱이 무장폭동의 주모자 김달삼은 1948년 8월 25일 월북하여 국기훈장 2급을 수여받았고, 1950년 3월에 게릴라로 6.25전쟁 전 침투하였다가 정선지역전투에서 사망하였다. 그의 비문에 ‘남조선혁명가’라고 새겨져 ‘애국열사릉’에 묻혀있다는 것이 과연 무엇을 말하는가? 그야말로 대한민국을 전복하려던 무장폭동의 수괴(首魁)였음을 증거하는 것이다.

그런 사건을 현직 대통령이 "교과서에 4·3이 ‘국가공권력에 의한 민간인 희생’임을 명시하고 진압과정에서 국가의 폭력적 수단이 동원됐음을 기술하고 있다"며 “뜻깊다”고 강조한 것은 스스로 역사왜곡과 진실호도의 이데올로기적으로 편향성을 보여준 것으로 유감스러운 연설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을 ‘태어나지 말았어야할 나라’로 보는 역사인식의 연장선이라면 더욱 더 유감스러운 연설이다.

결론적으로 정말로 시급한 것은 ‘4·3특별법 개정’이 아니라 바로 대통령의 ‘편파적 역사관 개정’이라는 점을 충고드리고자 한다. ‘제주4.3사건’의 치유는 인정할 것은 인정하고, 위로할 것은 위로하고, 보상할 것은 보상하고, 기록할 것은 기록하는 것이다.

권불십년(權不十年)이라는 금언처럼 정권은 짧고 정치는 길며, 이념적 진실은 잠시 가려지나 역사의 진실은 절대로 가려지는 것이 아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