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녹색연합 “서울시는 페트병 병물 ‘아리수’ 생산 중단해야”

서울시의 ‘라벨 없는 생분해성 재질 페트병 생산’은 ‘그린워시(Greenwash)

  • 기사입력 2020.05.24 19:18
  • 기자명 이경 기자

환경단체가 2001년부터 생산하기 시작한 서울시의 병물 ‘아리수’의 생산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지자체가 플라스틱 쓰레기 생산에 앞장서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지난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병물 아리수의 비닐라벨을 없애고 탈(脫) 플라스틱 시대로 진입하기 위해 병물 아리수의 생산량 감축과 경량화에 이어, 19년 만에 5월부터 전량 무(無)라벨을 적용해 플라스틱 사용량 줄이고 재활용률 극대화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는 올해 하반기 국내 최초로 90% 자연 분해되는 친환경 소재인 생분해성 페트병을 소재로 생산함으로써 탄소배출을 78% 감소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녹색연합은 24일 성명을 통해 서울시가 지난 21일 올해 병물 아리수를 라벨 없는 페트병(40만 병), 생분해성 재질의 페트병(10만 병)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발표와 관련, 전 세계가 일회용 플라스틱 문제로 인해 심각한 환경오염 상황에 처한 지금, 서울시의 병물 아리수 생산이 과연 올바른 정책인가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녹색연합은 서울시가 병물 아리수 생산량을 2011년 8백만 병에서 올해 50만병으로 줄인 것은  무엇보다 플라스틱 페트병으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한 지적 때문이라고 밝혔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서울시가 수돗물의 수질 홍보, 시민들의 음용 기회 확대, 재해 등 비상시 구호품 사용을 위해 2001년 5월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병물 아리수는 최근 7년간(2011년~2017년) 병물 아리수의 사용량 중 단수,폭염등 비상급수용으로 사용된 양이 전체 생산량의 3%~12%에 그쳤고 약 80% 이상이 시민홍보, 회의, 행사 등에 사용됐다.

 무라벨 병물 아리수 © 서울시

2019년부터 단수 및 재난용으로만 1백만 병을 생산한 서울시가 약 10년간 비상급수용으로 생산된 양은 최소 18만 병에서 최대 1백만 병까지 천차만별이다.

녹색연합은 “비상급수용 병물 아리수의 양이 고무줄처럼 늘었다 줄었다 해도 큰 문제가 없다면 꼭 필요한 곳에 제대로 사용되었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지금대로라면 급수차 지원이나 최소한의 비상급수팩으로도 대처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쓰레기 처리 어려움 호소하는 지자체들, 병물 페트병 생산 앞장

새롭게 도입될 ‘생분해성 소재’와 관련, 녹색연합은 “제작 단가가 높고, 아직 배출처리시스템이나 배출되었을 경우 ‘생분해’ 환경이 마련되지 않았다”면서 “굳이 수돗물을 담아 마시는 용도에 도입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의 지침 상 생분해성 소재 용기는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하는데, 그런 경우 대부분 소각 처리되며 별도로 수거해서 생분해될 수 있는 환경에 매립하는 게 아니라면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현재 서울시 외에도 많은 광역 지자체가 병물 수돗물 생산을 하고 있다.

서울 ‘아리수’, 인천’ 미추홀 참물’, 대구 ‘달구벌 맑은물’, 대전 ‘잇츠수’, 부산 ‘순수365′, 광주 ’빛여울수’ 등 광역지자체는 수십만 병부터 최대 200만 병까지 생산하고 있다. 울진’ 보배수’, 경산 ‘옹골찬수’, 안산 ‘상록수’까지 종류만 30여개에 이른다. 일선에서 쓰레기 처리 업무를 하면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지자체들이 앞서서 쓰레기를 생산하는 셈이다.

녹색연합은 지역에 따라 무분별한 지하수 취수뿐 아니라 페트병 생산에 따른 에너지 사용, 플라스틱 쓰레기의 증가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먹는 샘물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공에서 수돗물 보급이라는 포장 하에 일회용 페트병을 생산하고 처리의 실효성도 없는 생분해성 소재 페트병을 친환경 정책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그린워시Greenwash)”라고 지적하고, 서울시가 <1회용 플라스틱 없는 서울 종합계획>이라는 기치에 따라 펴야할 정책은 라벨을 떼거나 생분해성 소재를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병물 아리수 생산을 중단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린워시(Greenwash)란 기업이 실제로는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제품을 생산하면서도 기업의 이미지 광고나 PR을 통해 친환경적 이미지를 내세우는 기만적 행위를 의미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