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겨울나무

  • 기사입력 2020.11.05 21:45
  • 기자명 시인 이오장
▲ 이오장 시인    

                                       

                                       겨울나무

 

                                                                                                 정송전 (1942년~ )

 

                                                             겨울나무는 산의 말을 귀담아 듣는다

                                                             한여름 칡넝쿨에 덮여서도

                                                             앙상한 몸짓으로 서서

                                                             햇살 한 줌 추스려 안는다

 

                                                             해마다 우듬지 내밀어

                                                             귀에 거슬리는 온갖 새소리에도

                                                             발길 헛디뎌 가며 비탈길 내달린 뜻 알겠다

                                                             

                                                              아쉬움 층층이 쌓아 올린 꼭대기에서

                                                              머릿결 휘날리다가 삭정이가 꺾인다

 

                                                              산속 적막이 겨울나무를 맴돌고

                                                              야윈 혈색으로 서 있는 그 자리

                                                             누구에게 알리고 싶은 아우성인가

 

                                                            겨울나무는 마저 앙상한 몸짓으로 말없이

                                                            오늘도 내밀한 바람을 하늘에 날린다

        

삶의 길에서 부딪쳐오는 모든 것들의 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시작점에서는 아무것도 몰라 그냥 넘기고 중간을 넘어서면 자만에 빠져 귀담아듣지 않는 게 인생이다. 평탄하게 살아왔던 질곡의 험난함을 이기고 왔던 삶의 여정에서 세상의 소리는 그저 스쳐 지나고 마는 게 보통이다. 귀담아들으려 해도 온갖 소음이 자신만의 길을 덮어버려 들을 수도 없다. 주어진 시간을 다 보내고 저 앞에 마지막 능선이 보일 때 비로소 주위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게 인생이다. 정송전 시인은 겨울나무 앞에 서서 이제야 들리는 삶의 소리를 듣는다. 인생의 후반부에 들어서서 시간의 흐름을 읽은 것이다. 우거진 이파리에 가려지고 중첩된 골짜기에 가려졌던 온갖 소리가 귀 열지 않아도 귓속에 속속들이 들려온다. 숲의 소리를 넘어 산이 품은 희로애락이 하나하나 풀어져 들려올 때 발길 헛디뎌가며 비탈길 내달린 뜻도 알게 된다. 인생은 처음과 끝이 구분되지 않은 엉킨 실타래지만 모든 것을 벗어버리면 확연하게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고 바람을 볼 수 있는 눈도 생긴다. 한 그루 겨울나무가 삶의 길과 삶의 결과를 알게 해준 것은 누구나 겪는 인생의 참모습이 시인의 눈에 불현듯 들어왔기 때문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