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화장품 업계는 90% 재활용 안되는 예쁜 쓰레기를 책임져라"

  • 기사입력 2021.02.26 10:14
  • 기자명 차수연 기자

‘화장품 용기 재활용 문제’ 개선을 위한 시민들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녹색연합 등 화장품 어택 시민행동은 25일 광화문 LG 광화문 빌딩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불과 2주만에 전국 86곳의 상점에서 8,000여개, 370KG에 달하는 화장품 빈용기가 수거되었다"고 지적하면서 "화장품 용기 90% 이상이 재활용이 어렵다는 사실에 시민들은 배신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시민단체들은 "화장품 용기만 예외적으로 ‘재활용 어려움’ 표시를 면제하겠다는 사실에 시민들은 분노한다"." 왜 화장품만 예외가 되어야 하는가?" "화장품 용기 재활용 문제 해결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에 환경부와 화장품업계가 응답할 것"을 촉구했다.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 표시 제도가 도입된지 2년이 지났다. 제도 시행을 불과 5개월을 앞두고 환경부와 화장품 업계는 화장품 회사가 용기를 역회수하면 재활용 어려움 표시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협약을 맺었다. 그 내용을 담은 행정예고는 사회적 논란에 불을 지폈다. 결국 2월 23일, 환경부는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표시 기준> 일부 개정안을 발표했다. 개정 내용이 생산자의 회수 체계가 자발적 협약을 넘어서서 환경부의 제도로 반영된 것은 유의미하지만 논란의 핵심인 포장재 등급 표시 예외 적용은 개선되지 않았다.

이에 화장품 어택 시민단체등 "환경단체들은 화장품 용기의 공병 회수 체계는 선별장에서의 재활용 방해를 막기 위함이고, ‘재활용 어려움’ 표시는 소비자에게 정보로서 정확하게 전달되어야 한다". "화장품 용기만 예외가 될 수 없다". "화장품 업계만 예외가 되어야 하는지 환경부는 시민들에게 설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녹색연합 등 환경단체들은 "지속가능성 선언과 환경 친화 경영을 하겠다면서도 재활용이 안되는 용기를 생산해 온 화장품 업계는 논란의 책임을 피할 수 없다" "화장품 업계는 지난 1월 <2030 화장품 플라스틱 이니셔티브 선언>을 발표하며 “재활용 어려움 표시도 안하겠다” 하고, “2030년까지 재활용어려움 제품을 100% 제거하겠다”지만 구체적인 실행 계획 없이 말뿐인 선언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화경단체들은 "선언대로라면 시민들은 10년 동안 여전히 재활용 안되는 화장품 용기를 사용해야 한다. 시민들은 2030년까지 기다릴 수 없다. 화장품 업계는 재질과 구조를 변경해 재활용과 재사용이 가능한 지속가능한 포장재로 변경해야 하며 이를 위한 장단기별 재질개선 목표와 구체적인 이행 계획 발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들은 이를 위해 첫째, "재활용 어려움 90% 화장품 용기의 재질을 조속히 개선해야 한다. 재활용되기 쉬운 단일재질 용기를 사용하고 펌프에서 금속 스프링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대안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를 참고해 조속히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로 포장재를 변경해야 한다".

둘째, "화장품 업계는 실효성 있는 공병 회수 체계 갖춰야 한다. 화장품의 판매율 중 온라인몰과 H&B스토어의 비중이 높으며 향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 유통마트와 H&B스토어도 용기 회수에 참여해 회수율을 높여야 한다. 쉽게 반납할 수 있는 판매점이 곳곳에 존재하고 판매점의 공병 수거를 의무화 해야 한다. 구조가 단순하고 크기가 큰 샴푸, 린스 같은 바디제품은 재활용이 용이한 재질로 변경해 분리배출 원칙에 따라 재활용 체계에서 수거될 수 있도록 하되, 부피가 작고 내용물 오염이 우려되는 스킨케어 및 메이크업류는 화장품 업계가 책임지고 재활용해야 한다.

셋째, "화장품 업계는 자원순환을 위한 ‘리필 재사용’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개인의 실천을 넘어서 리필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화장품 업계는 대용량 단위의 리필 제품의 개발과 보급에 나서야 한다. 또한 화장품 업계는 세척, 건조, 살균이 용이하고 내용물 리필이 편리한 재사용 용기를 개발하고 보급해야 한다. 소비자가 직접 내용물만 교체할 수 있도록 재사용 제품의 품목을 다양화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