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전교생의 98.3%가 다문화가정 학생이기도

  • 기사입력 2022.02.07 14:53
  • 기자명 이진경 객원논설위원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이진경 특임교수. JG사회복지연구소 소장 

한국사회의 지배적인 이슈 중 하나는 인구변화이다. 한국전쟁 종전 후 1955년부터 1963년 사이 베이비부머 출생아는 약 712만 명이었다. 전체 인구의 14.6%를 차지한 가운데 마지막 베이비부머 1963년생 103만3220명은 올해 은퇴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1980년대 초까지 매년 80만 명 이상이 태어났다 하여 이 시기까지 베이비부머 집단으로 보기도 한다. 이에 반해 2020년 출생아수는 27만2337명으로 통계 작성(‘7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고, 다문화 출생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6%에 달하고 있다. 

인구감소는 지방 소멸부터 일어나고 이는 곧 나라의 근간을 위태롭게 하는데 출생아수로부터 지방 소멸의 현실화는 위기감으로 다가온다. 궁여지책으로 지방자치는 추모공원, 교도소 등 기피시설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유동인구 증가와 고용 창출 효과로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경북 상주시 함창읍 나한2리는 주민이 30명에 불과해 마을이 존폐 위기에 처하자 상주시의 공설 추모공원을 유치했다. 

인구변화는 다인종, 다문화가 대안이 되고 있고 전교생중 98.3%가 다문화가정 학생들로 구성된 안산시 원곡초등학교를 예로 들 수 있다. 구로 남초교는 510명 중 약 45%가 중국계・중국동포 다문화 학생들이다. 구로중학교는 전교생 436명 중 약 40%가 다문화가정 출신 학생이며 경기도의 5개교에선 이미 다문화 학생 비율이 70%를 넘긴 곳도 있다.

지난해 강원도 양구의 한 초등학교는 전교생 20여 명 중 30%에 가까운 6명이 다문화 가정 학생이고 군내 다문화학생 비율은 횡성 8.5%, 정선 8.4%, 홍천 7.5%, 영월 6.7%로 나타났다. 충청도는 청양 13.7%, 금산 12.2%, 부여 9.8%의 기록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미 20여 년 전 다문화사회를 이룬 외국의 독일(2003년 12.9%), 미국(2004년 12.2%), 프랑스(1999년 10%), 캐나다(2004년 18.9%) 등을 보면서 우리도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에 대한 논의는 2000년대 초반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18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다문화 수용성 지수는 성인 52.81점이다. 3년 단위로 한번 이뤄지는 이 조사는 2012년 첫 조사에서 51.17점, 2015년 53.95점 등 제자리걸음의 반복이다.

이에 반해 초록우산어린이재단에서 2020년 서울·경기지역 중학생 200명(다문화가정 87명, 비다문화 가정 113명) 대상으로 '국가 및 사회인식 비교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에 살고 있다는 것이 자랑스럽다'는 문항에 동의하는 응답자 비율은 다문화가정(94.3%)이 비다문화가정(86.7%)보다 높았고, '앞으로 한국에 살고 싶다'는 문항 역시 다문화 가정(93.1%)이 비다문화 가정(87.6%)보다 높았다. 

더욱이 '우리 사회가 어느 정도 믿을 수 있는 사회라고 생각하나' 묻는 항목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응답이 '그렇다'(47.7%) '보통이다'(46.5%), '그렇지 않다'(5.8%) 순으로 높은 데 반해 비다문화가정 학생은 '보통이다'(65.2%) '그렇지 않다'(20.5%) '그렇다'(14.3%)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한국인으로서 자긍심을 더 강하게 느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청소년에 비해 다문화 학생들의 고등교육 취학률, 고용률은 낮은 수준이다.

현재 대통령 후보들은 지역표심잡기에 급급해 천문학적인 예산 소용의 공약을 남발하고 있지만 누가 대통령이 되어도 지방소멸은 무거운 짐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외국인 집단이 한국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살아가야 하며 한시적이더라도 ‘시민’이 되어 살아간다는 것에 대해 대통령 후부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잘 살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