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가 도시 학생들의 생태 감수성을 길러주기위해 생태교육을 명시한 관련 조례를 폐지한다고 한다. 한마디로 정말 어이없는 일이다. 교육의 ‘교’자도 잘 모르는 학부모지만 생태교육, 기후위기 교육은 이제 ‘대세’라는 것쯤은 상식이다.
서울시 의원쯤 됐으면 아무리 보수 진보가 나눠어져 있다하더라도 기후위기 교육, 생태교육에 대한 상식은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지금 보니 전혀 그런 상식도 없어 보인다.
‘생태교육조례 폐지안’은 서울시의회 국민의힘 최유희 의원이 지난 5월 30일, 53명의 국민의힘 의원의 동의를 얻어 발의했다. 폐지 사유는 해당 조례와 조례에 따라 설치된 기금이 당초 목적과 달리 '농촌유학' 단일사업에만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도시 학생들의 생태감수성을 길러낼 ‘농촌유학’사업은 경기도 학부모들도 관심을 가지는 사업이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기후위기 대응은 보수 진보를 떠나 교육·산업·국제사회 등 모든 영역의 모든 정책 시행에 앞서 수반되고 고려되어야 할 상식이다. 어린이들과 청소년이 이런 교육을 받지 못한다면 이는 아이들의 교육받을 권리를 심각하게 저해한다고 판단된다.
게다가 우리나라 교육기본법에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모든 국민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생태전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수립·실시해야 한다’는 조항이 명시돼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서울시의회의 생태전환교육 조례 폐지 시도는 뜬금없다.
16일, 학부모단체들이 서울시 의회를 항의 방문해 " 서울시의회의 생태전환교육 조례 폐지 시도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꼭 필요한 교육을 받을 권리를 심각하게 저해한다고 지적하고, 도시 학생들의 생태감수성을 길러낼 농촌유학 예산을 비롯해 생태전환교육 관련 예산을 부활시켜 기후위기 시대 도시에 사는 학생들이 책임감 있는 생태시민으로 자라날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그러나 국민의힘 중심의 서울시 의회는 변화의 별 미동이 없다. 마치 소귀에 경 읽는 듯 했다. 서울시 의회의 지나친 정치적 결정에 우리 교육과 학생들이 병들어 가는듯 해 가슴이 아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