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연일 뉴스에 오르고 있다. 첫 느낌은 민주당 김은경 전 혁신위원장과는 결이 많이 다르다는 것이다. 김은경 전 위원장은 이재명 대표 활동반경 안에서만 놀았던 면이 강하다. 이른바 방탄용이다. 반면, 인요한 혁신위원장은 어떤 범주에 가둬지지 않는 캐릭터다. 김기현 대표뿐 아니라 윤 대통령에게도 할 말 하는 자유주의자로 보인다. 속된 말로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대통령 눈치를 살펴야 할 만큼 꿀리는 게 별로 없다. 정치를 안해도 얼마든지 존경받고 살고 있다. 순천 촌놈이라며 미친 척하며 할말도 다한다. 심지어 방송에서 귀여운 욕도 한다. 그만큼 국민의힘을 살리고 대한민국을 살리고자 하는 그의 진정성이 와닿는다. 자신이 망가지더라도 할 일 하겠다는 의지가 충만하다.
물론 그의 시도가 성공할지 여부는 아무도 모른다. 성패여부는 어디로 튈지 모르는 공과 같다. 그러나 확실한 건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김은경 전 민주당 혁신위원장과는 훨씬 결이 다른 위원장이다라는 느낌이다.
그런데 인요한 위원장이 혁신위원으로 요청했던 국민의힘 천하람 순천당협위원장이 혁신위 참여를 거절했다. 이준석계로 알려진 그의 거절 사유는 이미 최재형 혁신위에서 위원을 했기 때문에 자기 생각을 알고 싶으면 그때 정리된 혁신안을 보면 된다는 것이었다. 또 김기현 체제를 위한 들러리가 되고 싶지 않다는 솔직한 생각도 드러냈다. 그럴듯하다. 그런데 들여다보면 이준석과 탈당할 명분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한 안간힘이 아닌가 하는 느낌도 있다.
여론조사를 보면 이준석 신당이 국민의힘당과 비슷한 지지율로 나온다. 아마 이준석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의원을 따르는 지지자들이 고무되어 있을 것이다. 이준석 대표 체제 때 공개 채용된 당 부대변인 신인규 변호사는 벌써 탈당을 선언했다. 이들의 탈당과 신당창당 파괴력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다만 새정치하겠다는 청년들이 이런 것도 생각해 봤으면 좋겠다. 지금 당장은 여론이 그대들을 꼬시고 있지만 어차피 우리나라의 권력구조 형태는 대통령제다. 대통령제는 ‘All or Nothing’(전부, 아니면 전무)체제다. 한 표라도 많은 쪽이 모든 권력을 가진다. 그래서 대통령제는 내각제와 달리 다당제가 아니라 양당제로 간다. 선거 전이 됐든, 선거 후가 됐든 양당제로 귀결된다. 간혹 국민이 3당체제를 만들지만 곧 양당제로 회귀한다. 제도특성이 그렇다. 선거 전에는 유권자들이 전략투표, 즉 될 놈을 찍어주자라는 생각으로 중도보수 유권자는 국민의힘 쪽으로 표를 몰아줄 가능성이 높다. 아마도 인재영입이니 뭐니 해서 장구와 꽹과리 치듯 요란할수록 사표방지 심리 때문에 중도 국민 다수는 제3당보다는 그래도 변하려고 몸부림치는 거대 정당에 투표할 가능성이 높다.
그런 면에서 청년정치인들이 과거 신선했던 청년 정치인들이 실패했던 길로 가선 안된다. 지금 청년 정치인들은 여의도 정치계산법에 사로잡힌 정치행태를 보여선 곤란하다. 정확한 목표타격정치나 전자계산정치가 아니라 감동의 정치를 하기 바란다. 그런 면에서 과거 선배 정치인인 도산 안창호 선생의 사례를 기억했으면 한다.
1919년에 3.1운동이 일어나고 상해에서 임시정부가 만들어졌을 때, 안창호 선생은 내무부장이었다. 요즘으로 따지면 내무장관이다. 그런데 당시 대통령이었던 이승만파벌과 국무총리격인 이동녕파벌 간 자리싸움으로 임시정부가 깨질 위기에 놓였다. 그때 안창호 선생은 내무장관보다 두어 단계 아래인 내무부 노동국장을 자임했다. 내무차관보다 더 밑에 있는 직위였다. 분열을 막아보려고 스스로 낮은 자리로 내려간 것이다. 기득권 정치에 매몰되지 않고, 계산하는 정치가 아니라 맑고 신선한 정치를 펼 수 있는 것이 청년 정치인의 특권이라고 본다. 지금 당장 드러난 국민지지율에 도취되기보다 좀 더 큰 걸음으로 큰 정치를 향했으면 한다. 여야를 불문하고 국민에게 감동이 있는 기득권포기정치, 눈앞 계산보다 미래를 향한 통큰 정치, 그것이 많은 시간이란 자산을 가진 청년정치인들이 도전해볼만한 정치가 아닐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