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5% "북한도 하나의 국가"…통일 지지층서도 증가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조사…남북통일 지지층 65%, '北 국가성' 인정

  • 기사입력 2025.10.06 09:40
  • 기자명 용산하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적대적 두 국가론'을 다시 강조한 가운데 22일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 남측 대성동 마을 태극기와 북측 기정동 마을 인공기가 펄럭이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적대적 두 국가론'을 다시 강조한 가운데 22일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 남측 대성동 마을 태극기와 북측 기정동 마을 인공기가 펄럭이고 있다.

남북한을 현실적으로 '두 국가'라고 볼지가 최근 국내 외교안보 정책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국민 절반 이상은 북한도 하나의 국가라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6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하 연구원)의 '2025 통일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도 하나의 국가'라는 의견에 '찬성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54.5%로 가장 많았다.

'반대한다'는 응답자는 14.3%, '반반/보통이다'는 31.1%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연구원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올해 7월 21일부터 8월 17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남녀 1천200명에 대해 1대1 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8%포인트다.

연구원은 지난 2007년부터 매년 통일, 북한, 대북정책, 주변국 등에 대한 국민 의식을 조사해오고 있다. 2013년 조사부터는 북한을 하나의 국가로 보는지를 설문 문항에 포함했다.

북한도 하나의 국가라는 데 찬성하는 비율은 매년 40%대 후반부터 60%대 중반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해 왔다. 대체로 국민의 절반가량은 꾸준히 북한의 '국가성'을 인정해 왔다는 의미다.

최근에는 이 비율이 2023년 49.9%, 2024년 52.1%, 올해 54.5% 등 소폭이지만 계속해서 상승해온 점이 눈에 띈다.

특히 대북정책 목표로 '남북통일'을 지지하는 층에서도 북한의 국가성을 인정하는 비율이 지난해에 비해 큰 폭으로 늘어났다.

연구원은 우리 정부가 대북정책 목표로 무엇을 가장 중요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묻고 선택지로 '남북통일'(응답률 13.8%), '남북 평화적 공존 및 한반도 평화정착'(61.3%), '북한의 개혁개방과 남북 경제공동체 통합'(24.6%) 등을 제시했다.

이중 남북통일을 우선적 대북정책 목표로 지지한 응답자 가운데 북한의 국가성을 인정한 비율은 지난해에는 53.5% 수준이었지만 올해는 65.4%로 약 12%P 늘었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객원연구원은 "북한이라는 정치적 실체를 인정하는 것이 장기적 과정으로서 통일까지 가는 데도 불가피하다는 생각을 했을 수 있다"며 "현 정부 지지층의 정치적 결집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