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국과 빠른 관세 합의 원해...김정은 만날 일정 없어"

한미 관세 후속협상 APEC 방한 계기 타결 기대감

  • 기사입력 2025.10.25 07:39
  • 기자명 김다원 기자
▲2019년 김정은과 만난 트럼프. 연합뉴스
▲2019년 김정은과 만난 트럼프. 연합뉴스

한국과의 빠른 관세 후속 협상 합의를 원하며,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를 만나는 일정은 현재 포함돼 있지 않다고 미국 고위 당국자가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24일(현지 시각) 트럼프 대통령 순방 관련한 사전 전화 브리핑에서 "대통령은 앞으로 김정은과의 회동 의사를 표명해 왔지만, 이번 순방의 일정에는 들어가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 고위 당국자는 "물론 변동이 생길 수는 있다"라고 여지를 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밤 11시쯤 백악관을 출발해 30일 돌아오는 일정의 아시아 순방에 나선다. 말레이시아 쿠알룸푸르(26~27일)에서의 일정을 시작으로 일본(27~29일), 한국(29~30일) 등을 순차적으로 방문한다.

한국 방문 첫날인 29일에는 이재명 대통령과 회담하고, 이튿날인 30일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난다. 이 기간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에서 김정은 총비서와 만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고위 당국자는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방식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는 한미 간 관세 후속 협상과 관련, "한국과 가능한 한 빨리 투자협정을 체결하는 것을 매우 열망한다"라고 말했다.

또 '3500억 달러 중 조선업에 대한 별도 1500억 달러 투자를 원하느냐'는 질문에는 "현재 진행 중인 무역 및 투자 협정의 결과로 더 많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곧 더 자세한 내용을 발표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조선 산업을 재건에 매우 헌신적이며 윗세대로부터 배울 수 있는 부분들을 찾고 있다"라고 했다. 그는 "(한국뿐만 아니라) 심지어 일본의 노하우와 자본 투자도 환영한다"면서 "미국의 제조업 방위 산업, 조선 및 잠수함 건조를 돕기 위한 전반적인 협력도 환영한다"라고 밝혔다.

한국은 지난 7월 30일 구두합의 수준의 한미 간 무역협정을 체결하면서,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 중 1500억 달러를 마스가(MASGA, Make America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에 특화해 투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방미해 한국 측의 마스가 특화 투자 제안은 여전히 논의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순방 일정 마지막 날인 30일 한국 경주에서 열릴 예정인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미중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세계의 두 최대 경제국가 사이의 격렬한 무역 전쟁을 끝내기 위해 모든 것을 포괄하는 합의를 목표로 한다"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