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등 부동산 거래 절벽 본격화..."강남 등 위주로 초양극화 가능성"

  • 기사입력 2025.10.25 08:13
  • 기자명 최수경 기자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및 고가주택 대출 규제 등을 골자로 한 이재명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후 부동산 시장의 거래절벽과 매물 잠김 현상이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사실상 거래가 끊겼고, 수요 참여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서는 모양새다. 그러나 “집값 안정 효과는 제한적이며, 강남 등 일부 지역 위주로 집값이 오르는 초양극화 현상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부 대책 발표 이후 매도·매수자 모두 관망세로 돌아서며 거래절벽과 매물 잠김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게다가 일부 여권 인사들이 보유세 강화를 언급하면서 거래절벽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거래절벽 현상은 통계로 확인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23일 기준으로 10월 거래 건수는 3642건으로 집계됐다. 지난 6월 9440건, 9월 8090건에 비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부동산 시장에선 대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자산가들의 똘똘한 한 채 수요가 이어지면서 초양극화 현상이 심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양지영 신한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은 "정부의 고강도 규제 이후 대출 의존도가 낮은 현금 자산가 중심으로만 거래가 이뤄지고,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용산구, 성동구 등 고급 주거지 가격만 오르는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대중 한성대 일반대학원 경제·부동산학과 석좌교수는 "서울 전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이면서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경직되고,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실수요자들까지 거래를 망설이는 등 거래절벽 현상이 갈수록 심해질 것"이라며 "보유세 강화 등 정부 정책의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지금과 같은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