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요청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이하 핵잠) 건조를 승인한 가운데 일본도 핵잠 도입 가능성을 시사했다.
1일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 대변인 기하라 미노루 관방장관은 지난 10월 31일 요미우리신문과 아사히신문의 핵잠 도입 가능성 질문에 "모든 선택지를 배제하지 않고 억지력·대처력 향상에 필요한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즉 일본 정부가 방위력 강화 차원에서 자위대에 핵잠을 도입할 수 있다는 의사를 시사한 것이다. 다만 기하라 장관은 "현시점에서 정해져 있는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일본 방위성의 지난 9월 전문가 회의에서 "적 기지 공격능력(반격능력)을 뒷받침하려면 장사정 미사일을 탑재한 채 장거리, 장시간 잠항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며 '차세대 동력' 잠수함 도입 검토가 제안된 바 있다. '차세대 동력'이지만 사실상 핵잠을 염두에 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의 여당인 자민당과 유신회도 지난 10월 20일 연정 수립을 위해 맺은 12개 부문 합의서에서 장사정 미사일을 탑재한 채 장시간, 장거리를 잠항할 수 있는 차세대 동력 기반 잠수함 보유를 추진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핵잠 건조 승인을 계기로 일본의 핵잠 도입이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