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유치전 돌입

12월부터 실장급 단장 체제, TF팀 구성

  • 기사입력 2025.11.10 08:54
  • 최종수정 2025.11.10 08:55
  • 기자명 최우일 기자

 

▲대전시가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대응하기 위해 2차 공공기관 이전대응TF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유치전에 돌입한다. 대전시 전경
▲대전시가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대응하기 위해 2차 공공기관 이전대응TF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유치전에 돌입한다. 대전시 전경

대전시가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대응하기 위해 2차 공공기관 이전대응TF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유치전에 돌입한다.

시에따르면 TF는 행정자치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체제로 우선 출범한 뒤, 12월부터 실장급 단장 체제로 전환될 예정이다고 10일 밝혔다.

또 균형발전과, 도시재생과, 도시정비과, 전략산업정책과, 정책기획관, 대외협력본부, 대변인 등 유관부서와 협력하고, 대전연구원이 참여하여 공공기관 지방 이전 업무를 전담하게 된다.

주요 기능은 유치 대상 기관 재정비,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유치 전략 고도화, 유치 대상 기관 방문 및 MOU 체결, 공공기관 우선 배치 촉구, 범시민유치위원회 구성․운영 및 대내외 홍보 등이다.

TF 출범은 지난 8월 국정기획위원회가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일정을 공식 발표함에 따라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부 추진 일정에 맞춰 전담 대응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궁극적으로는 대전 혁신도시를 성공적으로 조성하여 공공기관 이전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함이다.

우선 출범과 동시에 기존 중점 유치 대상 기관(39개)을 재정비하고, 그 외 지방 이전이 가능한 수도권 공공기관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유치 대상 기관을 재선별한 후 집중적인 유치 활동을 전개하게 된다.

유치 대상 기관은 대전의 지역적인 특성 및 산업구조와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고, 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기관을 기준으로 선별한다.

유치 대상 기관을 바탕으로 기존의 대전시 공공기관 유치 전략을 고도화하여 구체적인 추진 방향과 로드맵을 수립한 후 기관 유치 활동도 진행할 예정이다.

또 유치 대상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대전 혁신도시의 입지 여건, 정주 환경, 인프라 등 대전의 강점을 집중홍보하고, 이전 의사가 있는 기관과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이 본격화될 때 국회와 정부에 대한 대응 논리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대내외 홍보활동도 강화로 시 홈페이지, SNS, 언론, 방송매체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혁신도시 조성과 공공기관 유치에 대한 시민 공감대를 형성하고, 정부 및 정치권에 지역의 의지를 표출할 계획이다.

특히 시는 1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당시 혁신도시에서 배제되어 시민들이 상대적 불이익을 받았던 점을 고려하여, 지역 정치권 및 주민 등과 연대하여 정부와 정치권에 공공기관 우선 배치를 강력히 촉구할 방침이다.

아울러 향후 정부의 정책 추진 상황에 따라 관·지역주민·정치권·경제계·학계 등이 참여하는 범시민유치위원회를 구성하여 공공기관 이전 관련 민․관 공동 대응체계도 구축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