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장인화 회장의 ‘안전혁신 경영’ 공염불···참사 되풀이

올해만 사망 6건···15일 만에 또 ‘유해가스 참사’
‘글로벌 컨설팅-안전 자회사-TF’, 대책 쏟아내도 현장은 안전 사각
‘늑장 대응’ 논란까지···책임 묻지 않는 구조에서 반복되는 생명 참사

  • 기사입력 2025.11.21 12:09
  • 최종수정 2025.11.21 12:12
  • 기자명 정구학 대기자
▲포스코와 장인화 회장
▲포스코와 장인화 회장. 연합뉴스

지난 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는 청소작업 중 노동자 3명이 유해가스를 마셔 의식불명과 심정지에 빠졌고, 포스코 소방대 대원 3명도 구조 과정에서 경증 피해를 입었다. 피해자 중 2명은 자발순환을 회복했으나, 1명은 여전히 중태다.

이 사고는 불과 11월 5일 같은 제철소 내에서 하도급 노동자 1명이 유해가스에 목숨을 잃은 지 15일 만에 벌어진 참사다.​​

2025년 한 해 포스코그룹 전체에서 보고된 산업재해 사망자는 이미 6명에 이른다. 지난 7월 광양제철소에서는 배관 해체 중 붕괴사고로 1명이 숨졌고, 8월에는 포스코이앤씨 건설현장에서 4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 같은 해 포항제철소에서는 추락·끼임, 유해가스 노출, 중장비 사고 등 안전 사각지대에서 인명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사고 유형 역시 유사하며, 위험도가 집중된 현장이나 외주·하청업체 소속 노동자 피해가 빈번하다.​

포스코는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사과문과 함께 “특별진단 TF 운영, 글로벌 안전컨설팅, 안전 전문 자회사 설립, 전담조직 신설” 등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장인화 포스코 회장은 “구성원 모두가 안전혁신의 주체가 돼야 한다”며 혁신을 약속했지만, 일선 현장에선 “책임자만 바뀌고 현장위험은 여전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실제로 이번 사고에서도 포스코가 소방당국에 사고사실을 늦게 신고해 ‘늑장 대응’ 논란까지 더해졌다. 고용노동부와 경찰은 “보호장비 착용, 유독가스 농도 측정 등 기본 안전수칙 위반 여부”, “업무상과실치사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다.​​

포스코 공식 안전종합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2024년 포항제철소의 안전 Audit(검사)을 통해 3,400여 건의 부적합 사례가 제기됐고, 최근 안전경영 부문이 대표이사 KPI(핵심성과지표) 25%로 반영됐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구조적 위험과 초동대응 부실, 외주업체 위주 인력구성 문제가 지속 지적되고 있다.

노동계는 “말뿐인 혁신, 반복되는 인명사고, 현장 체감 없는 구호가 포스코 안전경영의 문제”라며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