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 더불어민주당 부자감세 폭주 규탄· ··"윤석열표 부자감세 답습"

더불어민주당,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 20%까지 인하 방안 검토
참여연대 "상속세 인하, 법인세 복원 후퇴 이어 초부자감세 행보" 지적

  • 기사입력 2025.11.23 17:17
  • 기자명 정성민 기자
▲노동당, 녹색당, 정의당, 경실련, 금융과미래, 민변 복지재정위원회, 참여연대는 지난 17일 국회 앞에서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참여연대
▲노동당, 녹색당, 정의당, 경실련, 금융과미래, 민변 복지재정위원회, 참여연대는 지난 17일 국회 앞에서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참여연대

더불어민주당이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을 20%까지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이에 참여연대가 민주당을 규탄하고 있다. 민주당이 야당 시절 윤석열표 부자감세를 비판했지만 이재명 출범 이후 윤석열표 부자감세를 답습 또는 초월하고 있다는 것. 그러면서 민주당에 부자감세 폭주 중단과 조세정의·재정 책임 회복을 촉구하고 있다. 

참여연대는 23일 "민주당이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을 20%까지 낮추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한다"면서 "최근 민주당의 상장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 복원 철회, 상속세 인하, 법인세 복원 후퇴 논의에 이은 또 하나의 초부자감세 행보로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배당소득 분리과세란 주식 등에서의 배당소득을 타 소득과 합산하지 않고 별도의 세율로 과세하는 방식이다. 현재는 배당·이자소득 합이 연 2000만원 초과 시 종합소득세율(6~45%)이 적용된다. 하지만 정부와 민주당은 주식시장 활성화를 명분으로 분리과세 혜택 세제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민주당은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을 35%에서 25%까지 인하하겠다는 구상이다.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이 인하되면 고배당 기업 투자자와 자산가에게 유리하다. 

참여연대는 "윤석열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내세워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꺼냈을 때 민주당은 부자감세라고 비판했다"며 "그런데 불과 1년 만에 똑같은 논리를 갖다 쓰며 더 큰 폭의 감세 폭주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참여연대는 "정치적·정책적 자기모순이자 염치없는 후퇴"라면서 "윤석열표 초부자감세 논리를 반복하는 민주당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참여연대는 "민주당에 묻는다. 윤석열 정부의 배당소득 분리과세는 '초부자 감세의 완결판(박찬대 전 민주당 원내대표 발언)'이며 민주당의 배당소득 분리과세는 '주식시장 활성화 특단 조치'란 말인가"라며 "윤석열 정부의 배당소득 분리과세는 '세제 지원 혜택이 대주주인 오너 일가에 집중되는 것을 자본시장 선진화라고 포장하는 것(임광현 전 민주당 원내부대표 발언)'이고 민주당이 추진하면 '주주환원 촉진'이 되는가"라고 지적했다.

참여연대는 "논리의 기준도, 정책의 철학도 모두 스스로 무너뜨리는 행보"라면서 "윤석열 정부보다 더 센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밀어붙여 결국 얻고자 하는 것이 주식시장 단기 부양 뿐이냐는 비판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참여연대는 "이재명 정부가 지난 7월말 세제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밝힌 '진짜 성장을 위한 공평하고 효율적인 세제', '응능부담의 원칙(납세자의 부담 능력에 맞게 공평한 과세를 해야 한다는 조세원칙)' 결론이 결국 부자감세란 말인가"라며 "지금 민주당의 감세 방향성은 거듭된 부자감세로 재정위기를 초래한 윤석열 정부와 어느 것 하나 다르지 않다"고 비판했다.

참여연대는 "18억 원짜리 집 한 채 가진 중산층의 세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상속세를 깎아줘야 하고 주가 부양을 위해 수십, 수백 억 원 주식을 보유한 이들의 세부담을 줄여줘야 한다는 주장 또한 그 연장선"이라면서 "심지어 국민의힘은 철지난 낙수효과, 기업 투자와 고용 위축을 이유로 법인세율 복원조차 반대하고 있는데 대체 민주당이 어떤 명분으로, 어떤 논리로 막을 수 있단 말인가"고 반문했다.

이어 "민주당이 부자감세 폭주를 멈추지 않는 한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 실현도, 조세정의 실현도 요원한 길이 될 수밖에 없다"며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상장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 복원 철회에 이어 근로소득 대비 최고세율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배당소득 분리과세까지 도입(최고세율 인하)한다면 민주당표 조세정책은 윤석열 정부가 남긴 재정 위기를 더욱 심화할 것이 자명하다"고 경고했다.

또한 "이재명 정부의 세제개편안이 그대로 통과되더라도 세수 증대 효과는 5년간 35조 4000억 원에 그친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부자감세를 확대한다면 '응능부담의 원칙'이라는 조세정의가 흔들릴 뿐만 아니라 향후 재정 여력 확보의 길을 스스로 봉쇄하는 꼴"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금 민주당이 할 일은 부자감세 폭주를 멈추고 조세정의와 재정 책임을 회복, 자산불평등과 양극화 완화에 나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공정사회
경제정의
정치개혁
모바일버전